논문검색
논문제목 | 멘탈모델을 중심으로 분석한 1인가구의 인터랙션 연구 -2030세대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 ||
---|---|---|---|
영문 | A Study on Inter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 based on Mental Model -Focusing on Residential Space of 2030 Generation | ||
저자 | 장미,나건 | 첨부파일 | |
초록 |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해 1인가구 중심의 인터랙션 분석과 주거공간내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자들은 다인가구와 1인가구의 차이점은 고려하지 않은 채 시스템 사용의 포괄적인 인터랙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1인가구는 다인가구 대비 연령 분포, 가족 구성원수, 주거공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차별화된 행동 패턴을 분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1인가구의 주거공간내에서의 시스템 사용 환경을 연구 범위로 한정 짓고, 기존의 모호한 인터랙션의 정의를 사용자와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정지어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위해 사용자 리서치에서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행동기둥과 인지공간을 통해 멘탈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는 총 15개의 인지공간으로 구성되어 1인가구의 주거공간 내에서의 멘탈 모델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teraction centered on Single-person household and to design specific directions for the system in the residential space. Previous studies conduct comprehensive interaction analysis of system use without taking the differences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 and a household. However, since Single-person household has the large differences in age distributio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residential space compared to other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differentiated task patterns for th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system usage environment in the residential space of Single-person household to the scope of the study and redefined the ambiguous definition of interaction based on user and system. For empirical and specific research results, we constructed a mental model through mental space and tower based on the contents of user research. It is composed of 15 mental space in total so that the mental model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the residential space of Single-person househo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