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포스히스토그램을 통한 조선시대 전통정원의 마당과 건물 간의 공간적 관계 분석
영문Analysis of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inner yards and architectur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using histogram of forces
저자민아람,이지현첨부파일
초록
전통정원의 디자인은 당대의 사상과 철학을 나타낸다. 한국의 전통정원의 경우 정원 조성 시 주변 자연환경과 지형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아 ‘자연주의’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정원은 도교 정신을 바탕으로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철학적, 종교적 사상을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 관료층이 민간 정원을 조성하면서 한국 전통정원만의 자연적 디자인 특징이 확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정원의 보편적인 공간구성을 정량화하고 자연환경과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정원의 특징으로서 ‘자연적’ 요소를 어떻게 설계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공간구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공간구성은 민족지학 분야에서 수시로 증명되었듯 한 민족성을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성만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한국 전통정원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는 조선시대의 민간 정원을 대상으로 하며, 그중 공간구성 분석을 위해서 공통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구성요소인 안채, 사랑채, 안마당이 모두 포함된 22곳의 한국 전통정원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연구 대상 정원을 선정하고 각 정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두 번째로 해석에 사용할 자연환경 요소를 선정하고 각 정원에 대한 자연환경 자료를 수집하였다. 세 번째로 정원 공간구성을 포스히스토그램(Histogram of Forces, HoF)을 활용하여 마당과 건물 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였으며, 네 번째로 정량화된 공간구성과 자연환경요소에 대해 정원 간의 유사매트릭스(similarity matrix)를 각각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산출된 공간구성 유사매트릭스와 자연환경요소 유사매트릭스 간의 상관관계를 Mantel Test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 안채-안마당 공간 관계에 대한 유사매트릭스와 경사와 향에 대한 유사매트릭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한국 전통정원에서는 입지의 경사와 향이 안채와 안마당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좌우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한국 전통정원을 새로이 디자인할 때에도 안채와 안마당의 배치에 있어 정원이 위치할 장소의 경사와 향이 중요한 고려 요소인 것을 수치적으로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