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서울시 도시공원의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조경 디자인 고찰 : 식물 식재 패턴을 중심으로
영문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using network analysis of urban parks in seoul : Focusing on the plant planting patterns
저자이윤서첨부파일
초록
현대사회에서 도시 내 휴양 시설들이 증가하며, 도시공원의 분류 역시 다양해졌다. 도시공원과 녹지는 삶의 질과 직접 관련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도시공원의 조경디자인을 위해서는 식물이 갖는 기능과 시각적 특성이 결합하여 공간에서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전체적인 조화와 균형을 위한 구성 연구가 필요하다. 즉 기술적 변화와 행태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객관적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공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공원에 조성된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성이 높거나 실제 식재 범위에서 중심이 되는 구성을 추출하였다. 그래서 식재 패턴을 분석하여 조경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목적을 두었다. 이는 식물의 개별 특성에 초점을 둔 기존의 분석과 차별화된 방법으로 조경 디자인에서 활용되지 않은 식물 연결 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서울시 내 5개 자치구의 도시공원 총 2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각 공원과 공원 간의 식물 간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도시공원 간 식물 유사 연결성을 파악하고, 상위그룹의 3순위에 속하는 식물을 도출하여 식재 특징과 디자인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느티나무로 교목류로 나타났고, 바위치가 그 다음 순이었다. 층위 구조는 교목층과 관목층 수목이 각각 다른 위치에 평면적으로 식재된 단층구조였으며, 꽃을 볼 수 있는 관목류가 드리프트(drift)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중심성이 높은 수종으로 파악되었다. 연구의 한계점은 작가의 디자인 철학을 유추할 수 없는 점, 식재 당시의 의도와 달라진 도시공원을 조사하지 못한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식물의 개별 생육 특징의 연구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