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반투명 표피를 사용한 건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
영문Research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Translucent-skin Buildings Based on Neuroaesthetics
저자이기,조택연첨부파일
초록
The functional separation of structure and skins in architecture has emerged in Gothic architecture. The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d the production of metal and glass, which led to the functional separation of structure from the skins becoming a common architectural design style after the 19th century. The architectural skins is liberated from the structure and assumes the role of expressing beauty. In this context,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the visual design points of architectural skins and architectural structure give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in this pa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concept and experimental data related to fluency theory and aesthetic A-HA theory are used to determine human susceptibility to transparency. There is a way found to generate good feelings that is semi-translucent architectural skins. Second, Determine the ideal architectural features through the "Prospect and Refuge" model based on the "Embodiment Theory" and the "Dwelling Theory". Third, Analyze the visual role of semi-translucent architectural skins and building structure based on the "Prospect and Refuge"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ymbolism. Fourth, Found the effect of expectation on memory representation in perceptual processing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esthetic model. Fifth, Vitruvius's architectural theory regards utilitas(functionality), firmitas(strength), and venustas(aesthetics) as the expected universal values of architecture. Sixth, In terms of memory representation, some suggestions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tructures in buildings are proposed with translucent building skins. On this basis, this study puts forward the following suggestions. Buildings with semi-translucent skins are attractive. Semi-translucent building skins should indicate that it is supported by a solid structure.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the firmness of the structure on the back of the semi-translucent skins satisfies the universal aesthetic consciousness. The good feelings generated in this automatic cognitive processing process based on unconscious implicit memor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outcomes.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projected on the back of the translucent skin satisfies a general aesthetic sense.Therefore, an expression with visual appeal - translucent architectural skins and visually perceived stable building structures are proposed in this study. 건축에서 구조와 표피의 기능적 분리는 이미 고딕 건축에서 일어났다. 산업혁명으로 금속과 유리의 생산이 가속되며 구조와 표피의 기능적 분리는 19세기 이후 건축 설계의 보편적 양식이 되었다. 건축 표피가 구조에서 해방되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신경 미학을 기반으로, 건축 표피와 이에 투영되는 구조가 시각적 디자인 포인트로 제안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우선 유창성 이론과 심미적 A-HA 이론 연구 개념과 데이터를 통해 투명성에 대한 인간의 선호도를 탐구한다. 좋은 느낌을 주는 방법 발견 - 반투명 건물 피부. 두 번째는 “구체화(embodied) 이론”과 “조망과 피신(prospect and refuge)” 모델을 기반으로 이상적인 건축적 특징을 정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상징성 관점에서 “조망과 피신(prospect and refuge)” 모델을 기반으로 반투명한 건물 외피와 건물 구조의 시각적 역할을 분석한다. 네 번째는 미의식 모델의 비교와 분석을 통해 지각 처리에서 기억 표현에 대한 기대의 영향을 발견하였다. 다섯 번째는 Vitruvius의 건축 이론적인 관점에서 기능성(utilitas), 견고성(firmitas), 심미성(venustas)을 건축이 원하는 가치로 삼고 있다. 여섯 번째는 기억 표현의 관점에서, 반투명 건물 외피를 가진 건물에서 건물 구조의 시각적 특성에 대한 제안이 제공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반투명의 표피를 가진 건물은 호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반투명한 건물 표피는 견고한 구조체가 이를 받치고 있음을 잘 보여줘야 한다. 이러한 무의식적 내재 기억에 기반한 자동 인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호감은 인지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각 인지에서 반투명 표피의 배면에 투영되는 구조체의 견고함은 보편적 미의식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시각적 호감을 얻는 표현인 '반투명한 표피와 이에 비치는 안정된 건축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