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광고디자인의 '혼돈'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의미보다는 다른으로 여러 의미를 가지는데 그것은 소비자의 상상력과 탐구욕을 자극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자유롭고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광고의 '혼돈'이 시각적으로 구현되어 혼란스럽고 아름다운 화면이나 장면을 통해 시청자에게 강력한 시각적 충격과 지각적 경험을 선사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및 상호 작용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오늘날의 빅데이터 시각화는 '복잡함'에 묻혀 소비자의 광고에 중요한 정보 획득에 영향을 미치므로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 '혼돈' 정도를 균형 있게 제어하기위해서는 카오스의 속성을 고찰하여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혼돈을 카오스(Chaos)로 정의하고 광고에 표현되는 프랙탈(Fractal) 요소 즉, 프랙탈(Fractal)의 형태적 특징과 카오스(Chaos)광고의 프랙탈(Fractal)효과를 통해 광고 디자이너에게 사례를 통하여 근거를 제공하였고 이를 통해 광고의 디자인 표현전략을 최적화하여 카오스의 매력과 정보 전달 효율 사이에서 최상의 표현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