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순환도시는 순환경제의 초석을 도시 네트워크에 구축함으로써 도시의 낭비적 관행에서 탈피하여 자원 절약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소비보다 지속 가능한 방법론을 우선적으로 한다.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순환도시 전략 속 미적 관련된 역할 뿐 아니라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교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환도시 전략 속 공공디자인이 적용되는 과정의 기초 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순한도시 전략을 하고 있는 국외 사례를 연구 범위로 공공디자인 관점으로 접근성 및 포용성, 안전성, 미적가치를 고려하여 전략을 세우게 되면 순환도시 전략이 더욱 더 도시에 적용되는 비중이 늘게 되어 주민들에게 스며들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말미에는 각각 요소별 순환도시 속 공공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순환도시로서의 전략이 국내에 공공디자인과 적용하여 더욱 더 효과적으로 작용되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