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디자인 교육차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학생의 ChatGPT 지속사용 의향에 관한 연구
영문A study on the Exploring Visual Design Students’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ChatGPT from a Design Education Perspective
저자주춘려,리메이르,정의태첨부파일
초록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ChatGPT는 디자인 교육 분야에 점차 침투하고 있다. 시각디자인 전공에서는 ChatGPT가 자료 탐색, 아이디어 발산, 카피라이팅, 색채 조합 등 다양한 과제 수행 과정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과 과업-기술 적합성 이론(TTF)의 통합모형을 기반으로,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ChatGPT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TAM 모형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U)은 학생들이 ChatGPT가 디자인 과업 수행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지각된 용이성(PEOU)은 ChatGPT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한편, TTF 모형은 디자인 과업 특성(TAC)과 ChatGPT의 기술 특성(TEC)이 과업-기술 적합도(TTF)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이는 ChatGPT의 기능이 과업의 요구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병행하는 방법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먼저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 7명을 인터뷰하여 ChatGPT 사용 경험과 선호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TAM-TTF 통합모형을 설계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총 337부의 유효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업-기술 적합도(TTF), 지각된 유용성(PU), ChatGPT의 기술 특성(TEC)이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ChatGPT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적 관점에서는 교수 전략, 인지 유도, 제도적 지원, 실제 적용 측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인공지능 개발자 관점에서는 시각디자인 전공자를 위한 기능 모듈 설계, 사용 안내 체계, 성과 평가 기준 등을 중심으로 한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다. 향후 디자인 교육의 지속 가능성과 지능화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