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농촌 활성화 배경에서 농촌 시장은 지역적 생활방식의 주요 매개체로 기능하지만, 기존 연구와 실천에서 오랫동안 간과되어 왔다. 허난성(河南省) 위천(洧川) 시장에 대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매개체 식별매개체 분류매개체 분해유전자 식별’의 네 단계를 통해 ‘지역적 생활방식→문화 매개체→문화 유전자’라는 식별 경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참여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여 물질적, 정신적 두 가지 범주와 공간, 상품, 시설, 음식, 거래, 사교, 언어, 활동의 여덟 가지 하위 범주의 문화 유전자를 도출하였으며, 리커트 척도를 설계하여 주민 설문지 188부와 관광객 설문지 154부에 대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식 유전자(3.262), 사교 유전자(3.258), 활동 유전자(3.255)가 시장 문화의 핵심 내용을 구성한다. (2) 관광객의 문화 유전자 평가는 전반적으로 주민보다 높으며, 차이가 가장 큰 차원은 시설, 언어 및 상품 유전자이다. (3) 이러한 차이 특성을 바탕으로 주민을 핵심 사용자로, 관광객을 우발적 사용자로 설정하는 활성화 사고방식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이론 차원에서 문화 유전자 개념을 정적인 농촌에서 동적인 시장으로 확장하여 ‘질적 발굴+양적 검증’의 통합 패러다임을 제공하며, 실천 차원에서는 여덟 가지 문화 유전자 목록과 이중 순환 전략을 통해 농촌 시장의 갱신, 운영, 평가를 위한 실용적 도구를 제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