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중국 동북 지역 홍해(红海) 아침 시장을 중심으로 길거리 시장 내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구하였으며, 시장 소리가 문화적 기호로 생산되고, 전파되며, 해석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버내큘러 문화(vernacular culture), 사운드스케이프 이론, 민족기호학적(ethnosemiotics)관점을 통합하여 시장 소리가 어떻게 문화적 기호로 기능하는지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사운드워킹, 사운드 매핑, 직접 관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축코딩 분석을 통해 시장 소리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연 소리, 내비게이션 소리, 배경 소리. 연구는 세 가지 대표적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두부 판매대의 방언 호객 소리, 가금류 판매대의 닭 울음소리, 그리고 식품 가공에 사용되는 화염 토치의 기계적 소리. 연구 결과, 시장 소리는 단순한 청각적 현상을 넘어 지역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는 복합적 기호 체계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소리들은 고객의 주의를 끌거나, 공간적 이동을 유도하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등의 특정 행동을 유발한다. 홍해 조시의 사운드스케이프는 다양성, 역동성, 그리고 강한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며, 이는 시장의 감각적 경험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버내큘러 문화의 혁신성과 지역성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도시 공공공간 설계에 다층적 소리 계획 전략 수립, 소리-행동 상호작용 시스템 설계, 지역 사운드마크 보존 등의 시사점을 제공하여 도시 감각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