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박물관 가상 투어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는 새로운 문화 체험 방식으로 부상시켰다. 본 연구는 다기준 의사결정 이론에 기반하여 온라인 박물관 가상 투어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프레임워크는 ‘몰입적 진정성’, ‘인터랙션 경험’, ‘정보 유도성’, ‘교육적 효과’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통해 각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중국 내 대표 온라인 박물관을 대상으로 일반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TOPSIS기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 집단은 ‘정보 유도성’을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평가하였으며, 반면, ‘교육적 효과’는 전문가 평가에서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고, 실제 사용자 평가에서도 낮은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이는 현재 시스템에서 교육 콘텐츠의 구성 및 전달이 충분하지 않음을 반영하며, 향후 설계 단계에서 교육적 요소의 통합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