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디자인 관점에서 여성 사용자의 서핑복 패턴 디자인에 대한 감성적 요구를 탐색하고, 디자이너 및 의류 브랜드에 실질적인 서핑복 패턴 개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시장에서 판매량과 소비자 평판이 모두 높은 5대 서핑복 브랜드(O’NEIL, Rip Curl, Roxy, Decathlon, Hisea)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와 KJ 기법을 통해 패턴 스타일 측면에서 대표성을 지닌 여성용 서핑복 샘플 12종을 선별하였다. 다음으로, 10세에서 40세 사이의 서핑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층 추출법을 활용하여 연령대의 균형 있는 분포(1020세 14.28%, 2030세 67.15%, 30~40세 14.28%)를 확보하였다. 총 59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감성공학 연구 방법에 기반하여 ‘자연적인–인공적인’, ‘부드러운–거친’, ‘전통적인–현대적인’, ‘복잡한–미니멀한’ 등 서핑복의 전체 스타일을 설명하는 9쌍의 감성 형용사를 도출하였고, 의미 차이법과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하여 12종 샘플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후, 9쌍의 감성 형용사 점수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핑복 패턴의 전체적인 감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패션 개성 요인’, ‘자연 역동성 요인’, ‘현대 활력 요인’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패턴 디자인은 여성용 서핑복의 감성적 인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로 다른 패턴은 시각적으로는 상이한 이미지를 전달하지만 감성적 차원에서는 유사한 인상을 전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서핑복 패턴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감성 요인은 ‘패션 개성’, ‘자연 역동성’, ‘현대 활력’으로 정리되며, 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패션 개성’을 지향하는 사용자에게는 디지털 프린팅, 기하학적 절단, 그라데이션 결합 등의 기법을 적용하고, ‘자연 역동성’을 중시하는 사용자에게는 자연 요소와 생체모사 디자인을 결합하여 착용감과 정서적 공감대를 강화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대 활력’을 추구하는 사용자에게는 스트리트 아트와 미래주의적 요소를 결합하여 강한 시각적 자극을 유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에게 여성용 서핑복 패턴 디자인에 대한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감성공학의 해양 스포츠 레저웨어 분야 이론을 확장함으로써 향후 관련 산업의 제품 설계 역량과 브랜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