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AHP 모형 기반 여성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문A Kansei Design Study on of Women's Surfing Suits: Based on the AHP Model
저자LI MIN,LEE JUNGHEE、ZHAO LINGMEI,KIM MYUN첨부파일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사용자의 감성적 요구를 기반으로, 감성 디자인 이념과 계층분석법(AHP)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서핑복 디자인 요소 선호도 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감성 디자인 이론에 따라 원단, 실루엣, 색채, 문양 등 4대 핵심 디자인 요소의 감성 어휘를 도출하고, 정성적 인터뷰와 SD 의미차 분법을 병행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9종 대표 서핑복 이미지에 대한 감성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어 10명의 학자를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원단, 실루엣, 색채, 문양의 16개 하위 요소에 대한 쌍대 비교와 가중치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각 요소가 여성 서핑복 감성 경험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화하였다. 평가 결과, 원단 요소의 하위 요소 가중치 순위는 ‘통기성’ > ‘속건성’ > ‘경량성’ > ‘부드러움’으로 나타났으며, 실루엣 요소는 ‘자유로움’ > ‘민첩함’ > ‘유선형’ > ‘타이트함’, 색채 요소는 ‘선명함’ > ‘청량함’ > ‘차분함’ > ‘클래식함’, 문양 요소는 ‘구상적’ > ‘동적인’ > ‘섬세한’ > ‘개성적인’ 순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디자인 전략을 제안한다: 통기성과 속건성이 높은 원단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인체공학적 3차원 재단을 적용하며, 고대비 및 그러데이션 색채를 조합하고, 구상적 자연 문양을 주시각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여성 서핑복 사용자의 감성 경험과 실용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용 서핑복의 감성 디자인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기능성과 실용성 측면에서의 심화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와 현실적 적용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