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학령인구 감소와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대학 교육은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 미술대학에서 실기고사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창의적 표현이 어려운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흥미가 감소하고, 중도 탈락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능동적 학습 환경이 요구된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교수 인력 부족과 경제적 제약으로 인해 AI 기반 교육의 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비실기전형 입학생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기반 기초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에서는 Bing Image Creator, Adobe Firefly, Krea AI 등의 무료 AI 도구를 활용하였다. 교육 과정은 AI 개념과 프롬프트 작성법 학습, 이미지 생성 AI 활용법 익히기, ChatGPT를 활용한 고급 프롬프트 작성 연습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종료 후 학생 만족도 조사와 교수자 인터뷰를 통해 교육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고 아이디어 구체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은 AI를 통해 디자인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특히 아이디어 발전 과정에서 유용함을 경험하였다. 교수자들도 AI 도구가 수업 준비와 진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면서 학생들의 학습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AI 활용 교육의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부족, 유료 AI 도구 사용 제한,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 확보 문제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었다.
생성형 AI 기반 디자인 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적 학습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AI를 활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아이디어 구체화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자들에게도 유용한 보조 수단이 될 수 있다. 하지만 AI 활용을 위한 교육 가이드라인 마련, 유료 AI 도구 활용 문제 해결,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조형 교육 강화, AI 기술적 이해 교육, 윤리적 문제 인식 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생성형 AI 기반 교육은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