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디지털 교육을 위한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 분석
영문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VR and Video Content for Online Experiential Learning in Digital Education in Korea
저자김정현첨부파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환경의 확산 속에서 디지털 교육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VR 및 영상 콘텐츠의 제공 현황과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국내 온라인 체험학습 관련 VR 및 영상 콘텐츠 현황을 통한 제안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5년 2월부터 5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에듀넷에 탑재된 체험학습을 위한 VR 및 영상콘텐츠 279종을 콘텐츠 유형, 제공기관, 지역 분포, 전시 시작 연도 등을 범주화하여 정리하였으며 데스크 리서치와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 대상의 체험 학습 콘텐츠 중 약 97.4%가 VR 유형이었으며, 약 77%가 서울 및 경기 소재의 기관에서 제공한 콘텐츠였다. 그리고 박물관 중심의 콘텐츠가 약 63.4%를 차지하고 있었다. 콘텐츠의 제작 연도는 2016년부터 2020년 사이로 집중되어 있으며, 2022, 2023, 2025년의 콘텐츠는 존재하지 않았다. 2021년 이후의 콘텐츠가 279개 중 4개인 것으로 보아 최신 전시와 관련한 콘텐츠가 매우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콘텐츠 운영이 시의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온라인 체험학습 콘텐츠의 정기적인 갱신,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확대, 학습자 중심의 콘텐츠 설계를 제언하였다. 또한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온라인 체험학습이 보다 실효성 있는 교육 매체로 기능하기 위해 정책적·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