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flow) 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실감미디어 콘텐츠가 관람자의 몰입 경험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기반한 실천적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몰입의 아홉 가지 요소를 재구조화하여 ‘현존성’, ‘연결성’, ‘서사성’, ‘설계성’, ‘능동성’이라는 다섯 가지 핵심 특성으로 정리하고, 이를 중심으로 국내 주요 실감미디어 전시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감미디어는 단순한 기술적 장치를 넘어 공간, 감각, 내러티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몰입 환경을 조성하며, 관람자의 심리적 반응과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매개체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호작용적 구조와 감정 흐름에 기반한 정교한 설계가 몰입의 깊이와 지속성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몰입 중심의 전시 콘텐츠 기획에서는 기술적 구현뿐만 아니라 감정 동선, 참여 구조, 피드백 시스템 등의 전략적 통합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임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