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국내 일간지 기사에 나타난 제주 워케이션의 이미지
영문Image of Jeju Workation in articles of domestic daily papers
저자김나희,오창섭첨부파일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급부상한 원격 근무와 워케이션(workation) 문화 속에서, ‘제주 워케이션’이 국내 일간지 기사에서 어떠한 이미지로 재현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21년 12월부터 2023년 4월까지 발행된 국내 주요 일간지 18종의 기사 중 ‘제주 워케이션’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50건을 수집하여 담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근로자, 지역 공동체, 지자체라는 세 주체의 시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주체는 제주 워케이션을 ‘자아 실현의 플랫폼’, ‘지속 가능한 삶의 전환지’, ‘전략적 브랜드’로 바라보고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는 단순한 풍경 묘사를 넘어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구조 속에서 주체 형성과 연결되고 있으며, 언론 보도가 이상화하는 이미지와 실제 현실 간에는 괴리가 존재할 수 있음 역시 드러낸다. 본 연구는 제주 워케이션의 이미지가 자연 풍경이나 노동 환경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삶의 방식과 장소성을 구성하는 담론적 장치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는 이미지가 단순한 시각 정보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기호 체계와 권력 구조 속에서 구성되고 해석된다는 시각적 문화 이론에 기반한다. 이를 통해 제주 워케이션은 단일한 실체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시선과 의미들이 교차하는 문화적 기호 체계로 작동함을 보여주며, 나아가 시각문화 이론과 담론 분석을 결합해 지역 이미지 연구의 새로운 분석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