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감성적이고 정체성 중심의 소비 패턴을 보이는 중국 Z세대의 은 장신구 소비 행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PV, Perceived Value), 감성 디자인 특성(EDF, Emotional Design Features), 시각적 상징 가치(VSV, Visual Symbolic Value), 문화적 정체성(CI, Cultural Identity)을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감정적 애착(EA) 및 구매 의도(PI)를 종속 변수로 포함한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제시하였다. 500개의 유효한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 PV, EDF, VSV는 EA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A는 디자인 인식과 구매 의도 간 관계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VSV와 EA 간 경로에서 CI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Z세대의 특성(ZG)은 PI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인지–정서–행동’(cognition–affect–behavior)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Z세대 소비자의 감정 기반 소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은 장신구 브랜드가 상징성과 문화적 공감대를 고려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