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반응형 브랜드 상업공간의 공간적 기호 생성 과정에 관한 연구 –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영문Semiotic Process of Spatial Signification in Responsive Brand Commercial Spaces - Focusing on Peirce’s Semiotics
저자이미소,,이재규첨부파일
초록
디지털 기술과 반응형 시스템의 발달은 상업공간을 정적인 진열 중심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적이고 유동적인 구조로 전환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찰스 앤더스 퍼스(Charles S. Peirce)의 기호학 이론을 토대로, 반응형 브랜드 상업공간에서 언어가 어떻게 공간적 기호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해석 속에서 의미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반응형 브랜드 상업공간은 브랜드 의도-사용자 해석-공간 피드백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의미 생성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브랜드 메시지는 고정된 형태로 전달되지 않고 사용자 경험 속에서 변주되며, 다시 공간 요소로 환류되어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가 주로 기술적 구현이나 체험적 효과에 집중한 것과 달리, 기호학적 관점에서 반응형 브랜드 상업공간의 동적 의미 생성 구조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학문적으로는 기호학 연구의 적용 범위를 공간 설계 영역으로 확장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본 연구의 분석 프레임과 구조적 이해가 브랜드 정체성 구현 및 사용자 경험 중심의 공간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