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CERS 개념과 생성형 AI 기반 디자인의 상관성 연구
영문Correlation Study between CERS Concept and Generative AI-Based Design
저자진현오첨부파일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이 산업디자인 과정에서 사용자의 놀라움(Surprise) 경험을 어떻게 강화하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마이클 루셀이 제안한 CERS(Conceptual, Emotional, Relational, Spiritual) 프레임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와 함께 나이키 A.I.R 프로젝트, 자하 하디드 건축 파빌리온, 허먼 밀러 게이밍 체어, BMW i Vision Dee 등 네 가지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산업디자인 전공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년 및 성별 변수에 따른 CERS 평가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생성형 AI는 기존 디자인의 개념적 전복, 감각적 몰입, 관계적 상호작용 확장에는 효과적으로 기여하였으나, 영적 경험의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였다. 특히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은 놀라움 반응을 보였고, 성별 비교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CERS 척도의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생성형 AI와 인간 디자이너 간 협업의 새로운 가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다만 표본의 한정성, 사례 수의 제한, 행동 데이터 미반영 등의 한계가 존재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집단과 장르 확장을 통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