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현재 중국의 농촌 시장은 문화관광 발전 과정에서 문화적 진정성의 상실을 광범위하게 겪고 있으며, 전통 문화의 내포가 공연화된 요소로 단순화되어 공간 맥락의 단절을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허난 위천 시장을 사례로 공간생산 이론과 문화유전자 이론을 창의적으로 통합하고, “삼원 공간 분석→문화유전자 식별→조정성과 모순성 분석”의 이론적 분석 틀을 구축하여 그 공간 문화생산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식별된 16개 공간 문화유전자는 표상의 공간(representations of space), 공간 실천(spatial practice), 표상 공간(representational space)의 세 차원에서 차별화된 분포 특성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교차공간 조정형, 공간 분화형, 주변-침묵형의 세 가지 유형을 형성한다. 공간 문화생산의 조정성 메커니즘은 다중 가치의 양립과 다주체 협동이 이루는 자기강화적 순환으로 나타나며, 모순성 메커니즘은 가치 논리의 충돌과 이해주체 간 이견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메커니즘 분석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문화유전자 활성화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여 농촌 시장의 문화 활성화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설계 근거를 제공한다.
주제어: 공간생산 이론; 문화유전자 이론; 농촌 시장; 문화 활성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