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검색
논문제목 | 공공건축이 지역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4년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 ||
---|---|---|---|
영문 | A Study on the Impact of Public Architecture on Local Communities focusing on the 2024 Korea Spatial Culture Award–Winning Projects | ||
저자 | 주저자 : 후가징(Hou, Jia Jing),교 신 저 자 : 윤재은 (Yoon | 첨부파일 | |
초록 | 공공건축물이 지역사회 공동체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24년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의 6개 수상사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했다. 연구는 먼저 공공 건축-커뮤니티 이론을 간략히 정리하고, 다음으로 공간 조직과 운영 상황을 주축으로 하여 주민의 접근과 사용, 교류 및 상호작용 기회, 지역 정체성 제시, 장기 운영 및 유지 보수 능력 등 여러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결과에 따르면, 각 사례는 일반적으로 개방적 사용과 일상적인 교류를 강화하여 생활권과의 연결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장소적 상징'의 형성 경로와 장기 운영 메커니즘에는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문은 정책 및 설계 측면에서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관리 메커니즘 구축, 공공 프로젝트 공급의 정상화, 그리고 환경과 운영을 포괄하는 장기 관리 체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공공 건축물이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거점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